FeedBurner 사용기
거의 집착이 아닐까 생각될 정도로 Blogger.com 을 파고들다 보니, 외국의 블로그 구조에 대해 상당부분 이해하게 되었다. 이번엔 FeedBurner 라는 이름은 한번쯤 들어봤을 서비스를 사용해보았다. 이건 이름 그대로 feed, 즉 자신의 블로그 구독(subscribe)키를 입맛에 맞게 구워내는(burn) 사이트이다. 설치형은 써보질 않아서 모르겠지만, 가입형 서비스인 경우, RSS 나 XML 버튼에 연결되는 문서를 수정할 방법이 거의 없다. 기껏해야 초기 구독시 나타나는 포스트의 갯수와, 전문공개냐, 일부공개냐 하는 정도가 전부다. FeedBurner 는 이러한 고정된 XML 문서를 자신이 먼저 읽어들여,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조시킨 다음, 새로운 XML 문서를 만들어내는 사이트이다. 즉, 구독 주소부터가 완전히 다르다. 그럼 문서가 깨지거나 불완전하지 않겠느냐고 걱정할 수 있겠지만, 내가 테스트한 바로는 원본과 거의 차이가 없다. 정확이 얘기하면, 겉모습에서는 원본 (+)알파이지, (-)알파인 경우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일단 구체적인 특징을 몇가지 소개하면, 자신의 구독 주소가 FeedBurner 를 통해 한번 거쳐가기 때문에, 구독 과정이 모니터링된다. 신기하게도 어떤 리더기(온라인/오프라인 모두 포함)로 어떤 포스트를 몇번이나 hit 했는지까지 알려준다. 이것만 봐도 상당히 쓸만하다고 생각하겠지만,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앞서도 설명했지만, RSS 리더기는 실제적인 내 블로그의 내용을 퍼가는 것이 아니라, FeedBurner 가 만든(캐쉬한) 문서를 읽어들이는 것이다. 따라서 중간에 문서를 수정하더라도, 그 내용이 반영되질 않는다. 정 수정되길 원한다면, 환경설정에 들어가 FeedBurner 가 나의 블로그를 다시 읽어들이도록 리셋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건 너무 불편한 과정이기 때문에 결국 선택의 기로에 서야한다. 자신이 오타가 많거나, 완성도 있는 내용을 배달하기 원한다면, FeedBurner 의 사용은 추천하고 싶지 않다. (여기서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은 배달되는 텍스트 중심의 피드 내용이 변하질 않는다는 거지, 실제 링크와 문서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즉 일부공개만 하는 사람은 크게 상관하지 않아도 된다.)
일단 이점을 양해할 수 있다면, 나머지는 거의 장점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알 수 없는 코드로 가득찬 XML 문서를 구글 리더와 같은 온라인 RSS 구독 버튼이 달린 보기좋은 문서로 만들어주고, 어떠한 리더기에도 호환될 수 있도록, RSS, ATOM 방식을 모두 지원(output)한다. 거기다 del.icio.us 나 flickr (이 둘은 항상 세트다) 의 내용도 추가로 넣어주고, 자신의 배너 이미지와 구글 애드 같은 광고도 삽입할 수 있다. 일부공개인 경우, 공개되는 문자의 양도 조절 가능하다. 거의 feed 에 관한 풀세트라 봐도 무방하다. 추가로 FeedBlitz 라고, RSS 가 뭔지도 모르는 컴맹들을 위해 이메일로 구독내용을 배달하는 서비스도 지원한다. 근데, 이게 사용하기가 더 빡신 것 같다.
블로그의 악세서리쯤에 해당하지만, 외국의 이른바, Pro Blogger 라 불리는 사람들은 이런 장치를 거의다 심어놨다. 즉, 이미지로 된 온라인 RSS 구독 버튼은 십중팔구 FeedBurner 를 경유해 간다. 주인장은 FeedBurner 계정에 차곡차곡 올라가는 카운터를 보고 매우 흡족해 하는 모양이다. 이런게 왠지 배알이 꼴린다 싶으면, 이미지 버튼을 누르지말고, 오페라나 파폭에 내장된 RSS 자동감지 버튼을 누르기 바란다.
일단 구체적인 특징을 몇가지 소개하면, 자신의 구독 주소가 FeedBurner 를 통해 한번 거쳐가기 때문에, 구독 과정이 모니터링된다. 신기하게도 어떤 리더기(온라인/오프라인 모두 포함)로 어떤 포스트를 몇번이나 hit 했는지까지 알려준다. 이것만 봐도 상당히 쓸만하다고 생각하겠지만,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앞서도 설명했지만, RSS 리더기는 실제적인 내 블로그의 내용을 퍼가는 것이 아니라, FeedBurner 가 만든(캐쉬한) 문서를 읽어들이는 것이다. 따라서 중간에 문서를 수정하더라도, 그 내용이 반영되질 않는다. 정 수정되길 원한다면, 환경설정에 들어가 FeedBurner 가 나의 블로그를 다시 읽어들이도록 리셋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건 너무 불편한 과정이기 때문에 결국 선택의 기로에 서야한다. 자신이 오타가 많거나, 완성도 있는 내용을 배달하기 원한다면, FeedBurner 의 사용은 추천하고 싶지 않다. (여기서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은 배달되는 텍스트 중심의 피드 내용이 변하질 않는다는 거지, 실제 링크와 문서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즉 일부공개만 하는 사람은 크게 상관하지 않아도 된다.)
일단 이점을 양해할 수 있다면, 나머지는 거의 장점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알 수 없는 코드로 가득찬 XML 문서를 구글 리더와 같은 온라인 RSS 구독 버튼이 달린 보기좋은 문서로 만들어주고, 어떠한 리더기에도 호환될 수 있도록, RSS, ATOM 방식을 모두 지원(output)한다. 거기다 del.icio.us 나 flickr (이 둘은 항상 세트다) 의 내용도 추가로 넣어주고, 자신의 배너 이미지와 구글 애드 같은 광고도 삽입할 수 있다. 일부공개인 경우, 공개되는 문자의 양도 조절 가능하다. 거의 feed 에 관한 풀세트라 봐도 무방하다. 추가로 FeedBlitz 라고, RSS 가 뭔지도 모르는 컴맹들을 위해 이메일로 구독내용을 배달하는 서비스도 지원한다. 근데, 이게 사용하기가 더 빡신 것 같다.
블로그의 악세서리쯤에 해당하지만, 외국의 이른바, Pro Blogger 라 불리는 사람들은 이런 장치를 거의다 심어놨다. 즉, 이미지로 된 온라인 RSS 구독 버튼은 십중팔구 FeedBurner 를 경유해 간다. 주인장은 FeedBurner 계정에 차곡차곡 올라가는 카운터를 보고 매우 흡족해 하는 모양이다. 이런게 왠지 배알이 꼴린다 싶으면, 이미지 버튼을 누르지말고, 오페라나 파폭에 내장된 RSS 자동감지 버튼을 누르기 바란다.
5 Comments:
http://www.feedburner.com/fb/a/ping
꼭 리셋을 해야하는건 아니에요.
시간 갠세이라고나 할까요 -_-;;
그리고 전 가입형 블로그 사용자는 Feedburner를 사용하는게 나을것 같습니다.
Feed주소가 바뀌어도 거정없는게 Feedburner의 가장큰 장점이라 생각하거든요.
그런가요? 저도 그점을 의심하고, 잠시 기다려봤지만, (실제) 주소를 바꾸기 전까진 변하지 않더군요.제가 좀 성급했던 모양입니다. 예전 포스트를 수정하고, RSS를 새로 등록했더니, 업데이트가 되어있네요. 지적하신대로 시간차만 있을뿐, 리셋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FeedBurner를 고정형 주소로 쓴다는 점이 재밌네요. 그쪽으로는 생각을 못했습니다.그리고 위에, 익명으로 (숙제인양) 주소만 던져주고 가시는 분, 덕분에 좋은 정보를 하나 알게 됐지만, 자꾸 그러시면 왠지 약오릅니다. 제가 ping 에 대해선 얼핏 들어나봤지, 그 정확한 개념은 잘 모릅니다. 하지만, 위의 주소로 ping 하니까, 등록된 블로그의 트래픽이 곧바로 업데이트되는 것 같네요.
http://archmond.mizc.com/tt/index.php?md=rss
피드버너에서 제공하는 BuzzBoost기능을 이용해 '블로그나라'님의 비스타 블로그를 연결해 놓은 페이지입니다.
저도 물론 Feedburner 사용하고 있구요^^
BuzzBoost 는 주소만 갈면, 특정한 블로그의 전용 리더기로도 사용할 수 있겠군요.
Post a Comment